국민 여가공간은 어디에?…규제에 갇힌 ‘최악의 카지노 강원랜드'
컨텐츠 정보
- 3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국민 여가공간은 어디에?…규제에 갇힌 ‘최악의 카지노 강원랜드'
황금연휴 기간이었던 지난 4일 강원랜드 카지노 입구에는 수천명의 고객들이 입장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25년 전, 강원도 정선 고한읍. 탄광이 사라진 폐광지대에 하나의 카지노가 들어섰다. 이름은 강원랜드. 지역 경제 회복과 국가의 ‘사행산업 공영화’ 실험이 동시에 맞물린 역사적 프로젝트였다.
강원랜드는 단순한 카지노를 넘어 ‘건전한 레저문화 조성’, ‘국민의 여가공간’이라는 공공적 가치까지 짊어졌다. 그러나 그 출발과는 다르게, 오늘의 강원랜드는 점점 더 고립된 도박장으로 퇴보하고 있다.
강원랜드의 영업 구조는 세계 어느 카지노와도 비교 불가능한 ‘우물안 개구리’로 전락했다.
하루 20시간 영업, 자동응답시스템(ARS) 추첨 방식으로 2000번 이내 당첨자만 좌석 착석이 가능하며, 1인당 베팅 한도는 30만원으로 제한된다. 월 출입 가능일은 일반 고객 기준 15일, 장기 고객은 10일이다.
그 결과는 혼란 그 자체다. 하루 6500여 명의 방문객이 1360대 슬롯머신과 200개 테이블을 두고 경쟁한다. 강원랜드는 하루에 2000~3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이 때문에 좌석 확보를 위한 대기 행렬은 일상이 되었고, 암암리에 ‘자리 브로커’가 활개를 치며, 좌석매매와 대리 베팅이 일상이 됐다.
강원랜드는 이러한 시스템 때문에 게임 전부터 수많은 고객이 긴 이동시간과 대기, 불안함에 지쳐간다. 게임이 아닌 기회의 박탈이 고객들을 먼저 맞이하는 셈이다.
서울 등 수도권이나 영남, 호남권에서 강원랜드까지 왕복 6~12시간. 도착하자마자 기다림이 시작된다. 입장 대기, 번호 확인, 입장 절차, 좌석 탐색… 그 와중에도 게임 좌석이 없으면 또 대기다.
식사나 화장실을 가면 게임좌석을 자리를 잃을까 노심초사, 몇 시간째 말없이 앉아 있는 것이 강원랜드의 일상이 됐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이런 행위가 자라나는 구조적 허점을 강원랜드, 문화체육관광부,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사감위)가 알면서도 외면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강원랜드는 25년간 독점적 지위를 누려왔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서비스'라는 기본적 가치가 실종됐다는 지적이다.
심지어 강원랜드 카지노 출입제한 등 제재 시스템은 고객 의견 수렴이 어렵고 ‘일방 통보’로 집행되며, 게임 마일리지인 콤프는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강원랜드를 억누르는 수많은 규제는 도박중독 예방이라는 이름 아래 집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다. 카지노 건전화 평가와 매출총량제 등 규제 강화 이후 불법 온라인 도박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고, 카지노 산업의 경쟁력은 세계적 흐름에서 완전히 뒤처졌다.
2007년 사감위 발족 당시 10조원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던 온라인과 원정도박 등 불법 도박 시장은 현재 최소 300조원 이상으로 확대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산한다.
특히 매출총량제를 위반했다며 사감위는 카지노 영업장 내부에 있던 은행 현금인출기(ATM)를 영업장 외부로 퇴출시켰고 신한은행 카지노 출장소 출입문까지 카지노 영업장 외부로 바꿨다.
이로 인해 카지노 매출이 감소한 것이 아니라 고객 불편만 더 컸다는 비판이 쏟아진다.
정부 규제가 과연 효과적인지 되묻게 되는 지점이다. 결국 풍선효과만 낳았고, 공공 카지노만 족쇄를 씌운 셈이다.
고객 A 씨는 “20시간 영업시간과 출입일수, 지나치게 낮은 베팅한도, 턱없이 부족한 게임좌석은 강원랜드가 세계 최악 수준”이라며 “슬롯머신 게임을 하면 좌석을 빼앗길까 빵과 우유로 대신할 정도”라고 토로한다.
서천범 한국레저산업연구소장은 “독점기업인 강원랜드는 영업환경과 출입시스템 등 고객을 쫓아내는 규제를 일삼으면서 최악의 난장판 카지노라는 비난이 끊이지 않는다”며 “규제혁신이 없으면 일본 카지노 개장과 함께 문을 닫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